안녕하세요~ 뉴핀입니다.
[HTML5.0]시맨틱(sementic)하다는 것에 대하여... - 1편. 시맨틱 태그
안녕하세요~ 뉴핀의 테드입니다. 오늘은 시맨틱 웹의 개념을 알아보고 시맨틱 하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시맨틱 웹에 관한 개념은 1998년, 웹의 창시자인 "팀 버
nufyn.tistory.com
저번 시간에는 시맨틱 웹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시맨틱 웹을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시맨틱 웹을 쉽게 구현하기 위한 시맨틱 태그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998년 월드 와이드 웹(WWW)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에 의해 개발, 기계가 읽고 처리할 수 있는 웹이라고 정의하였다. 컴퓨터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웹상의 정보를 탐색 및 수집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정보처리 기능을 하고 있다. 인터넷 정보를 의미망으로 통합한 온톨로지(ontology) 형태로 이루어지며, 정보를 이해하고 다양한 정보 간 의미 요소를 연결함으로써 지능적 판단에 따라 추출, 가공하는 처리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를 이용해 웹페이지의 정보를 나타내는 방식이 적용되었는데, 시맨틱 마크업 언어로는 XML, RDF 등의 언어 기술이 표준화되어 있다.
출처 : 시맨틱 웹, 나무 위키
이번 시간에는 왜 웹이 시맨틱 해야 하는가! 즉, 시맨틱 웹의 필요성과 쓰임을 연관시켜서 알아보고 팀 버너스 리와 W3C가 바라본 이상적인 시맨틱 웹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맨틱 웹의 쓰임과 필요성
시맨틱 한 정보들은 무수한 정보가 들어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의도에 맞게' 검색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기존에 있던 수없이 많은 데이터베이스 탐색 기술들은 시간과 자원이 적게 드는 쪽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시맨틱 웹은 그와 다르게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키워드의 정보뿐만이 아니라 의미(의도)를 파악)하여 정보를 검색합니다.
시맨틱 웹의 쓰임
시맨틱 웹은 기본적으로 인간과 컴퓨터 등의 기계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것에 목표가 있습니다. 현대 웹 환경에서 시맨틱 웹을 가장 잘 활용한 사례는 검색엔진에서 쓰이는 매체 검색 서비스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네*버랩'에서 고안한 '시맨틱 영화 검색'서비스가 있는데요. 해당 서비스에서 구현한 시맨틱 웹은 저희가 알아볼 시맨틱 웹과는 다른 것이지만 원리는 같기에 훌륭한 활용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가볍게 예시를 들어볼게요. 영화 검색을 위해 가물가물하게 떠오르는 한 장면 속의 배우를 알고 있다면, 아마 여러분들은 그 "배우의 이름"을 기억해내서 그 배우가 출연한 영화를 검색해 하나하나 찾아보실 겁니다. 하지만, 이때 여러분의 지인이 "어? 그 영화에 같은 배우가 찍은 다른 영화가 있는데, 필즈상도 받았고, 감독도 같아~ 재밌어~ 찾아봐봐!"라고 한다면 여러분은 검색하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검색으로는 찾기 힘든 애매한 이런 궁금증에 대해 지식iN에서 사용자들끼리 답변을 달기도 하고, 네이버 통합검색에서는 검색 빈도가 높은 정보에 대해 콘텐츠 검색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질문에 일일이 사람이 답변하거나(지식iN) 정답을 제작(콘텐츠 검색) 하지 않아도 검색 엔진이 데이터의 관계를 분석해서 자동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해 준다면 얼마나 편리할까요?
'시맨틱 영화 검색'은 차세대 웹의 화두로 떠오른 시맨틱 웹 기술을 영화 분야에 적용하여, 검색을 통해 웹에 있는 정보를 보다 스마트하고 재미있게 소비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출처 : 네이버 다이어리, 네이버 블로그
위의 사례와 인용문에서도 보았듯이 컴퓨터는 사용자가 검색한 정보의 '검색어'키워드만을 검색할 뿐, '애매한 검색어(명확히 기록되지 않은 정보)'는 검색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시맨틱 웹에서는 사용자가 궁금해하는 '지금 보고 있는 영화의 주연배우와 감독이 같은 영화', '필즈상을 수상한 영화'등의 애매한 검색어의 의미를 분석해 자동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시맨틱 웹의 필요성
여러분들은 아마 저런 검색환경 혹은 웹 검색 경험이 낯설거나 없을지도 모릅니다. 시맨틱 웹의 이상향이 '인공지능'의 영역에 맞닿아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맨틱 한 정보를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저희가 사용하는 인터넷에서 많은 웹페이지들이 시맨틱 하게 동작할 날이 올 겁니다. 시맨틱 검색의 유용함을 느꼈다면 시맨틱 웹의 필요성은 충분히 느꼈으리라 생각합니다. 개발자의 입장에서 시맨틱 웹은 검색엔진 최적화(SEO)와 데이터 탐색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들은 좀 더 편리하고 유용한 검색 경험을 가질 수 있을 겁니다.
위에서 알아본 시맨틱 매체 검색 서비스는 시맨틱 웹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 중의 일부입니다. 앞으로 함께 진행할 웹 개발 - 프런트엔드 개발에는 좀 더 현실적이고 쉬운 요소를 사용할 것입니다. 그게 바로 저번 시간에 잠깐 살펴본 '시맨틱 태그'인데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정보들도 앞서 살펴본 '영화'라는 콘텐츠가 담고 있는 정보와 같아서 여러분들의 웹을 시맨틱 태그들로 채워놓으면 검색엔진들에 더 쉽게 노출(SEO) 될 것입니다. 시맨틱 한 정보는 시맨틱 태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복잡하고 어려운 시맨틱 웹의 개념에 대해서 정말 짧고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시맨틱 웹의 사례와 미래를 보면서 흥미가 생기지 않으시나요? 그럼, 다음 시간에는 시맨틱 웹과 시맨틱 태그에 대해서 머릿속에 가지고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HTML5.0과 CSS3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Programming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확장프로그램 만들기 (1) (0) | 2022.11.28 |
---|---|
[HTML5.0] 시맨틱(semantic)하다는 것에 대하여... - 5편. <Main> (0) | 2022.11.07 |
[HTML5.0] 시맨틱(semantic)하다는 것에 대하여... - 4편. header (0) | 2022.10.19 |
[HTML5.0]시맨틱(semantic)하다는 것에 대하여... - 3편. HTML태그 (1) | 2022.09.26 |
[HTML5.0]시맨틱(sementic)하다는 것에 대하여... - 1편. 시맨틱 태그 (0) | 2022.07.25 |
댓글